목록심리학 (5)
영혼의 요양소
심리학이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류쉬안 지음, 원녕경 옮김/다연 재밌는 부분도 있었고 지루한 부분도 있었는데 평소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서 그런지 좋게 느껴지는 책. 연구진은 소비자들에게 가구 카탈로그에 실린 두 종류의 소파 베드 중 마음에 드는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하나는 푹신하고 편안하지만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모델이었고, 다른 하나는 다소 딱딱한 편이지만 내구성이 좋은 모델이었다. 그 결과 58퍼센트의 사람들이 내구성이 좋은 딱딱한 소파 베드를, 42퍼센트의 사람들이 푹신한 소파 베드를 선택했다.뒤이어 연구진은 소파 베드의 모델을 두 개 더 추가했다. 추가한 모델은 58퍼센트의 사람들이 선택했던 '내구성이 좋은 모델'에 가까웠다. 그리하여 내구성이 좋은 소파 베드를 선택하는데 선택의 ..
이 책을 구입하게 된 동기는 이 책의 저자를 유튜브에서 접했다. 나는 평소 심리학과 철학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것에 관심이 많아서, 유튜브에서도 그런 강의들을 종종 찾아본다. 이 저자의 이론이 어디에서부터 온 건지, 어느 학회의 이론인 건지는 잘 모르겠으나, 공감이 되는 부분이 있어서 호기심이 생겼다. 그래서 이 저자가 책까지 썼다는 걸 알게 되었고, ebook까지 구입하게 되었다. 요즘 시대에 성별을 나눠 심리를 말하는 건 구시대적인 것 아니냐,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감이 되는 건 왜일까? 이 책에 대한 내용이 학술적(?)인 용어가 다소 있어서, 심리학과 같은 것에 관심이 없다면 난해한 책일 수 있다. 유튜브에서 저자 이름을 검색해서 동영상을 몇 편 보고, 호기심이 생긴 후에야 구입하는 게 좋을 것..
[하워드 가드너가 1983년 처음 '다중지능이론'을 발표했을 때 '영적 지능'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후 10년 뒤 가드너는 '영성 지능'을 자신의 이론에 포함시켜 모두 9가지 요소로 구성된 다중지능이론을 완성했습니다. 물론 그의 이론에서 '영적 지능'을 의미하는 것은 '실존적 지능'(Existentialistic Intelligence)입니다.] 1. 언어 지능: 시인이나 문학가가 사용하는 미묘한 뉘앙스에서도 나타나고, 반대로 언어사용이 불가능한 실어증 환자에서도 나타난다. 이것은 우리가 흔히 일컫는 언어 분석력, 복잡한 어문 자료를 이해하는 능력, 은유를 이해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2. 음악 지능: 모짜르트와 같은 천재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이며 어린이에게서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어린 아동의 음악 ..
인간의 생활주기(life cycle)는 태어나서 성장, 발달하고, 사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주기에서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는 교육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데 첫걸음이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 없이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사고, 행동, 정서, 꿈 등이 신경계와 그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뇌의 활동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이 관점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심리적 사건은 뇌의 활동 및 여러 신경계통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인 개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하기보다는 측정과 관찰이 가능한 인간행동의 원인들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지론에 의하면, 인간행동과 심리적 사건들은 감각..
교육은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인간이란 어떤 존재가 되어야만 하는지, 어떻게 그런 인간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이다. 교육은 인간이 속한 시대, 사회와 분리될 수 있는 별개의 활동이 아니다. 교육이란 그 시대와 사회의 가치관의 반영으로서, 이상적인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 인간상에 대해서는 주로 철학 분야에서 탐구되어 왔으나,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도 나름대로 이상적 인간상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해 왔다. 교육학은 인간이 어떤 가치를 지닌 인간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체계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규범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헌신할 만한 가치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