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84)
영혼의 요양소
인간의 생활주기(life cycle)는 태어나서 성장, 발달하고, 사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주기에서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는 교육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데 첫걸음이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 없이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사고, 행동, 정서, 꿈 등이 신경계와 그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뇌의 활동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이 관점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심리적 사건은 뇌의 활동 및 여러 신경계통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인 개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하기보다는 측정과 관찰이 가능한 인간행동의 원인들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지론에 의하면, 인간행동과 심리적 사건들은 감각..
우리 집 뒷집에는 70대 중후반의 부부가 산다. 나는 5살 때 같은 동네 안에서 한 번 이사한 것 빼고는 서른 가까이 쭉 이 집에서 살았다. 그때부터 이웃이었다. 뒷집 부부를 친근함을 실어 늘 존재하는 '뒷집'이라고 부른다. 혹은 뒷집 할머니네. 어릴 때는 어른들의 삶에 자세히 관심이 없었다. 근데 나는 어느 날부턴가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생각하고 파악해보려는 시도를 하기 시작했다. 스무 살 중반이 지나서 세상이 마음대로 안 돼가는 걸 느낄 때쯤 사람과 사회를 알고 싶었나 보다. 뒷집 부부는 여름에는 내방 창문 너머에 조그만 하우스와 텃밭에서 열일을 한다. 뒷집 할아버지는 내가 방 창문으로 몰래 관찰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가끔 어린아이 같은 행동을 했다. 가령, 자기네 덩치 큰 믹스견을 목줄에 매달고 ..
교육은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인간이란 어떤 존재가 되어야만 하는지, 어떻게 그런 인간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이다. 교육은 인간이 속한 시대, 사회와 분리될 수 있는 별개의 활동이 아니다. 교육이란 그 시대와 사회의 가치관의 반영으로서, 이상적인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 인간상에 대해서는 주로 철학 분야에서 탐구되어 왔으나,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도 나름대로 이상적 인간상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해 왔다. 교육학은 인간이 어떤 가치를 지닌 인간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체계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규범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헌신할 만한 가치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아이를 사랑하되 바라만 보고, 배려를 알려주고, 마음 가는 걸 하도록 성인되기까지 두면 건강한 정신으로 큰다. 점수만 앞세운 교육 시스템과, 부모의 욕망과, 주변의 시선을 신경 쓰게 부추기는 미디어들. 그런 것들로부터 부모와 아이들이 멀리하면 누구보다 만족하는 삶을 빨리 찾지 않을까. 위와 같은 것들로부터 가까이 하면 어려서도 노인이며, 노인 되어서도 자신이 어떤 삶을 원하는지 사유할 줄 모르며 평생 자식을 조종하는 삶이 자신의 전부다. 그건 애정이 아니다. 자신이 바랬던 삶을 자식에게 떠미는 합리화일 뿐이다. 사랑한다면 욕망을 가지고 강요하는 게 아니라 애정으로 지켜보는 것이다.
존재하는 것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이고, 다른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이 아니다.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은 믿음, 충동, 욕구, 혐오,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 자신이 행하는 그러한 모든 일이다. 반면에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은 육체, 소유물, 평판, 지위,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 자신이 행하지 않는 그러한 모든 일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은 본성적으로 자유롭고, 훼방받지 않고, 방해받지 않지만,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은 무력하고, 노예적이고, 훼방을 받으며, 다른 것들에 속한다. 그러므로 만일 네가 본성적으로 노예적인 것들을 자유로운 것으로 생각하고, 또 다른 것에 속하는 것들을 너 자신의 것으로 생각한다면, 너는 장애에 부딪힐 것이고, 고통을..
1. 미국의 비판사회학자 밀스는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개인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역사적 변동과 사회구조적·제도적 모순에 의해 규정하려는 생각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햇다. 밀스는 인간과 사회, 개인의 일생과 역사, 자아와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능력을 '사회학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이라고 했다. 2. 사회학은 '사회'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사회현상들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학문(socio+logos)이다. 3. 역사적으로 '사회'라는 개념은 서양 중세 말기에 전통적인 공동체와 구별되는 '사회'라는 현상이 출현하면서 생겨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오늘날 사회라는 용어는 다양한 수준의 집단생활 또는 사람들의 모임을 가리..
1. be동사의 보어로서 의문사절이 사용되었다. One of the questions many vegetarians are asked is how they stay healthy. 2. such...that 용법에서 'such a + 형용사 +명사'의 어순에 유의하자. Meat is such an important source of protein that vegetarians must have difficulty staying healthy. 3. twice as...as는 '두배 만큼 ...한'을 의미한다. twice가 as...as. 앞에 위치한다. The meat-eaters are twice as likey to die of heart disease as vegetarians are. 4. 추가 ..
1. 가정법 과거는 시제는 과거형이지만 현재 사실의 반대를 의미하므로 현재로 해석한다. How would you feel if someone offered you a card ... (만약 누군가가 당신에게 ...카드를 제공한다면 어떤 느낌일까?) 2.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하다. All (that) you would have to do is to sign your name ... 3. it이 가주어, to 부정사구가 진주어를 나타낸다. It is easy to continue to use them even when we do not have the monet to pay for that. 4.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서 what(=the thing(s) that)이 사용된다. What h..